내 또래가 다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내 음악 취향은 록을 기반으로 힙합이 섞여져 있다. 메탈이 끝물을 타던 90년대 초부터 팝송에 빠져들어서 모던록과 브릿팝의 부흥에 심취하는 한편, 거대한 알앤비와 힙합의 물결에도 발을 담그고 있었다. 널바나와 보이즈 투 멘을 동시에 사랑하는 차별 없는 마인드의 리스너로 성장. Warren G와 Arrested development같은 애들도 나의 올타임 훼이보릿이란 말이지. 그리고 나서 일렉 폭풍을 맞이하여 잡다구리한 취향을 가지게 됐다. 결론은 장르 상관 없이 좋은 음악이 좋은 음악. 그러므로 섭템버에는 닥치고 지풍화 형님들의 '섭텝버'를 들어야 한다는 결론. -_-;;
각설하고, 유니버설뮤직의 협찬으로 일찌감치 솔드아웃된 에미넴과 제이지의 'Home and Home tour'를 보러 양키즈 구장에 도착했다. 갑자기 쏟아지는 우박으로 공연 보러온 몇 만명의 관중이 혼란에 빠지는 상황이 발생. 운좋게 5불에 우비 사고 좋아라 하다가 곧바로 비가 그치는 바람에 투덜댔으나, 이게 몇 시간 뒤 거대한 삽질의 암시임을 깨닫지 못했다.
엄청난 인파가 웅성대는 검색대를 빠르게 통화하고(양키즈 구장 입장시 경찰 검문은 필수) 안에 들어서니 거대한 규모의 경기장이 펼쳐졌다. 그리고 핫도그, 피자, 샌드위치, 햄버거 등의 상점과 수많은 맥주 가판들. 양키즈의 특별한(그러나 별로 보잘 것 없는) 플라스틱 컵에 따라주는 생맥주가 10불. 그냥 병맥주가 9불이라는 놀라운 바가지 가격. 그러나 이미 취한 혈기왕성한 분들의 고성방가가 간간히 들려 오고.
에미넴 공연에서 가장 좋았던 노래는 신곡인 'not afraid'와 앵콜곡이었던 'lose yourself'. 그 모든 곡을 영어로 떼랩하는 관중들이 놀라울 뿐이고. 공연인생사상 떼랩은 또 처음이네요. 에미넴의 특징은 절대 웃지 않는다는 것. 정말 심각하게 모든 곡을 래핑. 그리고 인사에는 모두 '마더퍼킹'이 수식어. 한국말로 옮기자면, '졸라 뉴욕, 졸라 좋냐?' 뭐, 이런 거. 뒤에서 연주하는 밴드 멤버들이 모두 흑인이란 점이 흥미로웠다.
에미넴의 1시간 반 공연이 끝나니 11시. 제이지는 나오지도 않았는데 신데렐라 통금시간이 다가오고 있는 상황.
이건 뭐 공연이라고 왔는데 알고 보니 힙합 페스티벌. 5시간 동안 랩만 들었더니 1년 들을 힙합을 다 들은 기분.
제이지나 에미넴이나 록과 똑같은 백밴드 구성을 하고 있어서 어쩔 때는 록음악에 랩이 끼어있는 듯한 느낌도 들더라.
1시 넘은 시각에 지하철은 좀 위험한 지라 기차를 타기 위해 맨하탄으로 내려왔다.(양키즈 구장은 브롱크스 위치) 그러나 다음 기차는 3시 반. 역 안에 자리잡고 주무시는 홈리스들을 가로지르며 결국 지하철을 타기로 결심.(뉴욕 지하철은 24시간 운행) 더딘 지하철을 타고 종점에 도착하니 3시. 한국 콜택시를 부르려고 했더니 전화를 안 받아서 결국 1시간에 한 대 있는 버스를 기다려 결국 4시에 집에 귀가하는 사태 발생. 머릿속에선 계속 에미넴의 I'm not afraid가 반복되고 있고. 그래 나는 두렵지 않았어요.
각설하고, 유니버설뮤직의 협찬으로 일찌감치 솔드아웃된 에미넴과 제이지의 'Home and Home tour'를 보러 양키즈 구장에 도착했다. 갑자기 쏟아지는 우박으로 공연 보러온 몇 만명의 관중이 혼란에 빠지는 상황이 발생. 운좋게 5불에 우비 사고 좋아라 하다가 곧바로 비가 그치는 바람에 투덜댔으나, 이게 몇 시간 뒤 거대한 삽질의 암시임을 깨닫지 못했다.
엄청난 인파가 웅성대는 검색대를 빠르게 통화하고(양키즈 구장 입장시 경찰 검문은 필수) 안에 들어서니 거대한 규모의 경기장이 펼쳐졌다. 그리고 핫도그, 피자, 샌드위치, 햄버거 등의 상점과 수많은 맥주 가판들. 양키즈의 특별한(그러나 별로 보잘 것 없는) 플라스틱 컵에 따라주는 생맥주가 10불. 그냥 병맥주가 9불이라는 놀라운 바가지 가격. 그러나 이미 취한 혈기왕성한 분들의 고성방가가 간간히 들려 오고.
에미넴 공연에서 가장 좋았던 노래는 신곡인 'not afraid'와 앵콜곡이었던 'lose yourself'. 그 모든 곡을 영어로 떼랩하는 관중들이 놀라울 뿐이고. 공연인생사상 떼랩은 또 처음이네요. 에미넴의 특징은 절대 웃지 않는다는 것. 정말 심각하게 모든 곡을 래핑. 그리고 인사에는 모두 '마더퍼킹'이 수식어. 한국말로 옮기자면, '졸라 뉴욕, 졸라 좋냐?' 뭐, 이런 거. 뒤에서 연주하는 밴드 멤버들이 모두 흑인이란 점이 흥미로웠다.
에미넴의 1시간 반 공연이 끝나니 11시. 제이지는 나오지도 않았는데 신데렐라 통금시간이 다가오고 있는 상황.
이건 뭐 공연이라고 왔는데 알고 보니 힙합 페스티벌. 5시간 동안 랩만 들었더니 1년 들을 힙합을 다 들은 기분.
제이지나 에미넴이나 록과 똑같은 백밴드 구성을 하고 있어서 어쩔 때는 록음악에 랩이 끼어있는 듯한 느낌도 들더라.
1시 넘은 시각에 지하철은 좀 위험한 지라 기차를 타기 위해 맨하탄으로 내려왔다.(양키즈 구장은 브롱크스 위치) 그러나 다음 기차는 3시 반. 역 안에 자리잡고 주무시는 홈리스들을 가로지르며 결국 지하철을 타기로 결심.(뉴욕 지하철은 24시간 운행) 더딘 지하철을 타고 종점에 도착하니 3시. 한국 콜택시를 부르려고 했더니 전화를 안 받아서 결국 1시간에 한 대 있는 버스를 기다려 결국 4시에 집에 귀가하는 사태 발생. 머릿속에선 계속 에미넴의 I'm not afraid가 반복되고 있고. 그래 나는 두렵지 않았어요.